Dependency Injection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 Spring / JAVA ] 스프링 - DI 방법 ( 3가지 ) 안녕하세요 ! 오늘은 Spring의 특징인 DI 방법 3가지를 알아보려고합니다. DI가 아직 뭔지 잘 모르겠다 ! 하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[Spring / JAVA] 스프링 - DI ( Dependency Injection ) 의존성 주입 안녕하세요 ! ꉂꉂ(ᵔᗜᵔ*)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의 특징 중 하나인 DI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. DI : Dependency Injection 객체간 의존성을 개발자가 객체 내부에서 직접 호출하는 연산자 대신 외 preparingforme-n-us.tistory.com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해주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. ( xml만을 이용해서 객체 생성을 하는 방법은 이전 글에 설명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! .. [Spring / JAVA] 스프링 - DI ( Dependency Injection ) 의존성 주입 안녕하세요 ! ꉂꉂ(ᵔᗜᵔ*)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의 특징 중 하나인 DI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. DI : Dependency Injection 객체간 의존성을 개발자가 객체 내부에서 직접 호출하는 연산자 대신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해주는 것 이제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코드로 작성해보면서 이해해볼까요? 우선 Spring Project를 생성해줍시다 ! MVC project로 생성해 준 뒤 main/java 폴더 안에서 Main과 Family, Student, StudentInfo Class를 만들어주겠습니다. main/resources 안에는 applicationCTX라는 이름으로 Bean ( Configuration ) 을 만들어주겠습니다. 아래는 각각의 클래스 입니다 ! Student.java pa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