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안녕하세요 ~ 😊
오늘은 실무에서 쓰는 리눅스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!!
사실 아직 리눅스 명령어는 차근차근 배워가는 느낌이어서
해당 글은 실무를 하면서 계속 명령어 추가해나가는 식으로 수정이 될 것 같습니다..!
리눅스 기본 명령어부터 사용자 명령어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.
리눅스 기본 명령어 📖
ls :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표시합니다. (list)
cd : 입력한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 (change directory)
- cd .. : 현재 위치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- cd /app/file : /app/file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- cd file : 현재 위치의 file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pwd :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 (print working directory)
rm : 해당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. (remove)
- rm content.txt : content.txt 파일을 삭제합니다.
- rm -r app : 해당 디렉토리 삭제합니다. (-r : recursive)
- rm -f app : 해당 디렉토리를 강제로 삭제합니다. (-f: force)
mkdir :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. (make directory)
- mkdir newDir : 현재 디렉토리 하위에 newDir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.
cat : 해당 파일 내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. (concatenate)
- cat content.txt : content.txt 파일 내용을 출력합니다.
head/tail : 텍스트 형식의 파일 앞/뒤 에 해당하는 n행을 화면에 출력합니다.
- head -10 exam.cfg : exam.cfg 파일의 앞 10행을 출력합니다.
- tail -f exam.log : exam.log 파일의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. (-f : follow)
clear :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 화면을 깔끔하게 지워줍니다.
+ MYSQL 접속
- mysql -u 계정명 -p : mysql에 해당 계정으로 접속합니다. enter password : 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.
- SHOW DATABASE; : DB 목록을 확인합니다.
- USE DB명; : 사용할 DB명으로 접속합니다.
리눅스 사용자(계정) 명령어 👨👨👦👦
id :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UID, GID, 사용자가 속한 모든 그룹의 정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id user1 : ID가 user1인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합니다.
useradd/adduser :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.
- useradd user1 : ID가 user1인 사용자를 생성합니다.
- useradd -u 1001 user1 : UID가 1001인 user1 사용자를 생성합니다.
- useradd -g group1 user1 : 그룹명이 group1인 그룹에 속한 user1 사용자를 생성합니다.
- ※ 그룹을 지정할 땐, 해당 그룹이 현재 생성되어있어야합니다.
passwd :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합니다.
- passwd user1 : ID가 user1인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합니다.
여기까지 리눅스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!
다음 글에서도 유용한 정보 들고오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